국내, 해외 뉴스와 최신 연구 소식을 한번에 꼭 읽어봐야하는 제약바이오뉴스 매거진 팜독 Vol.05 |
|
|
|
안녕하세요, 오늘도 반갑습니다.😍 앞으로 팜독은 제약바이오 산업내 주요 뉴스와 국내 주요뉴스, 해외 주요 뉴스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꼭 알아야 하는 국내 뉴스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뉴스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팜독은 뉴스의 컨텐츠를 세분화 하여 구독자 분들에게 제공하도록 업데이트할 계획에 있습니다. 그러면 팜독 5호 뉴스레터 시작하겠습니다. |
|
|
CONTENTS
1. 빅파마의 동향을 통해 본 국내 제약시장 예측
2. 국내 AI/MI의 생명공학 연구 적용은?
3. What do cancer cells crave?
4. Laboratory Incubator Buying Guide
5. 국내 주요 뉴스
6. 해외 주요 뉴스 |
|
|
Big Pharma: How Did They Perform in 2022 and What’s Ahead in 2023?
DCAT Valu Chian에서 제공한 기사를 통해 국내 빅파마 사의 변화를 예측해 본다,
[원문]
대형 제약바이오사의 2022년 재무 결과 검토.
2023년에 가장 적합한 회사와 제품은 무엇입니까? DCAT Value Chain Insights는 미래에 대한 내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Looking at the top performing company
2022년 업계 성과의 높은 벤치마크 중 하나는 2022년에 기록적인 해를 보낸 화이자의 것으로, 그 자체와 업계 전체의 수익에서 높은 기록을 세웠다. 2022년 1003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2021년 대비 23%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고, 2021년 화이자와 업계 매출 기록을 세웠던 2021년 매출 813억 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코로나19 백신인 Comirnaty와 코로나19 백신인 paxlovid (nirmatrelvir/ritonavir)가 2022년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다. 이들 제품을 합치면 화이자의 2022년 총 매출의 57%에 해당하는 567억 달러의 매출을 차지했다.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코미르나티의 2022년 매출은 378억 달러,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디의 2022년 매출은 189억 달러(아래 그림 1 참조)였다. 이 두 제품의 수익만 570억 달러에 육박하는 것은 2021년 상위 5개 바이오·제약사의 개인 연간 수익과 맞먹거나 웃돌았다.
코로나19 범유행이 완화되면서 2023년 화이자 전체 매출과 마찬가지로 이들 제품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이자는 2023년 매출을 670억 달러에서 710억 달러 사이로 예상한다. 수익에 대한 회사의 재무 지침 중간 지점은 2022년 수익 대비 31%의 영업 감소를 반영한다. 2023년 기업 수익이 2022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전적으로 화이자의 코로나19 제품에 대한 수익 감소 때문이다. 2023년 COVID-19 백신 수익이 예상되는 코미나티는 135억 달러로, 실제 2022년 결과보다 64% 감소했다. 2023년 COVID-19 의약품인 Paxlovid의 매출은 80억 달러로, 실제 2022년 결과보다 5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 감소 전망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공중 보건 정책의 변화를 반영한다. 백악관은 지난달 말(2023년 1월 30일) 코로나19 국가비상사태와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2023년 5월 11일까지 연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는데, 이 시점에서 국가 및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이 모두 종료된다. 현재 비상사태 선포는 국민건강비상사태가 2023년 3월 1일, 공중보건비상사태가 2023년 4월 11일 각각 만료될 예정이다.
화이자는 2022년까지 모두 10개의 블록버스터 제품(매출 10억 달러 제품으로 정의)을 보유했다.
코로나19 백신 378억 달러, 코로나19 치료제 paxlovid (nirmatrelvir/ritonavir) 189억 달러의 매출은 2022년 화이자의 최대 수익 창출 제품이었으며 다른 블록버스터 제품의 매출을 크게 앞질렀다. 2022년에 두 번째로 높은 수익을 창출한 회사는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와 함께 개발한 항응고제인 Eliquis (apixaban)로, 2022년 세계 매출은 64억 8천만 달러였다. 그리고 2022년 세계적으로 51억 2천만 달러의 수입을 올린 항암제 Ibrance (palbociclib)이다.
2023년을 바라보는 화이자는 코로나19 제품과 예상되는 외환 영향을 제외하고 7~9%의 강력한 상위 라인 성장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
|
|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도 AI/MI 기술을 생명공학에 접목하는
연구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스웨덴은 국가적으로 AI를 이용한 연구활동에 집중하여 슈퍼컴퓨터 도입 및 MI 기술 접목의 기술을 통해 복잡한 알고리즘 신경망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 오하이오에는 전세계에서 가장큰 데이터 클러스터를 통해 생명공학 관련 연구 신경망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전세계적인 흐름과 비교하여 국내 제약 바이오 시장의 AI / MI 도입은 지지부진한 것이 현실이다.
글로벌 진단기기 업체 로슈는 지난 2018년에 항암제(Oncology) 중심의 정밀의학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암 특화 빅데이터 분석기업인 플랫아이언 헬스(Flatiron health)와 유전자 분석 전문 기업 파운데이션 메디슨(Foundation Medicine)을 각각 19억 달러, 24억 달러에 인수했다.
다국적제약사 GSK는 지난 2020년에 1300만 달러를 투자해 런던에 AI 허브 연구소를 설립하고 인공지능 컴퓨팅 업체 엔비디아(Nvidia)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GSK는 엔비디아의 DGX A100 시스템이라는 기술을 바탕으로 신약 및 백신 후보물질 발굴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1일 코스닥에 상장된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은 자체 개발한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Lunit Insight)'를 통해 암을 진단하고,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로 암 치료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제약바이오 산업은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뒤쳐진다는 평가다.
아이큐비아는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과 투자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나 소매업과 같은 분야와 달리, 제약바이오 산업에서의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술은 지속적인 가치 실현이라는 부분에서 아직까지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제약바이오 인공지닝 & 머신러닝 이니셔티브는 여전히 '파편화' 되어 있으며, 널리 알려진 대규모 인수조차도 '부분의 합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지 못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크게 ▲개인 의료정보 보호 ▲부족한 인공지능 기술 역량 ▲데이터 소유권 관련 사일로화 현상(부서·조직간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현상) 등이 제시됐다.
하지만 여기에는 '숨은 일인치'가 있다. 앞서의 원인들은 '표면적인 이유'이며 주된 이유가 따로 있다는 것이 아이큐비아의 분석이다.
아이큐비아는 "제약사들이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로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없는 원인에 있어 데이터나 기술적인 부분과는 관련이 거의 없다"라며 "인공지능에 대한 역량 및 가치에 대해 조직 차원에서 이해가 부족하거나 기술 솔루션 통합 실패, AI를 중심으로 하는 인재 유치 등의 부족이 주된 이유다"라고 평가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AI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보고서는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역량과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R&D와 영업·마케팅, MA(Market Access) 등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특히 조직 상층부에서부터 기본적인 이해를 갖춰야 하며,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주도해 각 사업 영역별 팀 구성원과의 협력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개별적인 '활용 사례(Use case)'를 뛰어 넘어 AI 기술을 활성화할 수 있는 새로운 내러티브(Narrative)를 생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간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신약 후보물질 발굴이나 약물 용도 변경과 같은 단일 목적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이에 맞는 AI 역량을 구축하려는 경향을 보였지만, 이는 근본적으로 비즈니스를 변화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단편적으로만 확산된다는 것이다.
아이큐비아는 "많은 제약사들이 유전자 표적을 찾거나 표적 분자 설계,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 마이닝 등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지만 모더나와 같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는 통합에 실패했다"라며 "R&D 과정에서의 단계적인 변화도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환자를 더 일찍 진단하거나 질병의 진행이나 위험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별하는 것 대신에, 환자 여정을 재정의하는 것을 고민하고 AI를 활용해 환자로 하여금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지는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의약품과 결합하는 R&D 단계에서부터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의 용량, 시간 등을 식별하는 툴(Tool)을 포함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 팜뉴스(http://www.pharmnews.com)
|
|
|
미국 연구진은 암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발견했다.
미국 록펠러 대학의 시스템 암 생물학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다양한 인간 암에서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이 제한되어 암세포가 영리한 유전적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아르기닌은 우리 몸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고 우리가 먹는 생선, 고기, 견과류에 풍부한 아미노산이다. 하지만, Science Advances의 연구는 그것이 암세포에도 필수적인 영양소라는 것을 밝혀냈다. 아르기닌 수치가 떨어지면 단백질을 마음대로 조작해 아르기닌과 다른 아미노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돌연변이를 유도한다.
세포 수준에서 아르기닌은 질소 폐기물 처리에서 단백질 합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정에서 역할을 한다. 그것은 또한 면역 세포가 암과 다른 종류의 면역 유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절하는 것으로 입증된 몇 안 되는 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연구원들은 코돈에 대한 대규모 연구의 일환으로 아르기닌과 암의 연관성을 발견했는데, 이는 각각 하나의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DNA 염기의 삼중항이다. 암 게놈 지도책을 샅샅이 뒤지면서, 과학자들은 수천 개의 코돈 돌연변이 사례를 문서화했다.
모든 암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아르기닌 코돈이었는데, 이 코돈은 돌연변이 동안에 그들이 했어야 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소실되었다. 위암과 대장암이 가장 극적인 결핍을 보였다.
연구원들은 최초의 아르기닌 강하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알지 못한다. UPMC 힐만 암 센터의 의사이자 과학자인 제1저자 데니스 쉬는 "우리는 일부 암이 낮은 아르기닌 조건에서 발병하고 DNA에 이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Hsu와 그의 팀은 암세포를 배양하는 데 몇 달을 보냈고, 그 후 아르기닌을 굶겼다. 그들이 세포들을 여러 차례의 세포 영양실조를 겪으면서, 암세포들은 필수적인 음식의 새로운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을 시도하면서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한 가지 성공적인 방법은 세포가 아르기닌과 다른 아미노산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아미노산 수송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한편, 그 오류들은 세포가 복제됨에 따라 더 복잡해졌고, 돌연변이 유전자와 기형적인 단백질과 같은 게놈의 변화를 초래했다.
다른 실험에서, 그들은 암세포의 환경에서 더 풍부한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코돈을 향한 돌연변이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들은 갑자기 그들이 가진 것을 이용하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이는 암세포들에게 더 식욕을 돋우게 되었다
흥미롭게도, 코돈을 구슬려서 그들의 명령을 따르도록 하는 이러한 능력은 잠재적으로 암세포의 파멸을 초래할 수 있다. 영양실조 상태에서 스스로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세포가 너무 많은 돌연변이를 축적해 면역체계에 매우 이상하게 보이기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돌연변이 때문에 여러분은 무작위로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고, 그것들은 면역 체계에 의해 거기에 속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라고 Hsu는 설명했습니다.
그 연구 결과는 면역요법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친다. "암세포를 굶김으로써, 아마도 면역체계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새로운 돌연변이의 증가를 촉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Hsu는 결론지었다. "우리는 이것을 실험하지 않았지만, 시도하는 것은 정말 멋진 일이 될 것입니다."
|
|
|
Laboratory Incubator Buying Guide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기능 및 사양 선택
실험실 인큐베이터는 세포생물학, 미생물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과학자와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도구이다. 특정 온도, 습도 및 기타 조건에서 세포, 조직 및 유기체를 성장시키고 유지하기 위한 통제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실험실 인큐베이터를 구입할 때 필요에 맞는 인큐베이터를 선택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Size and Capacity
인큐베이터의 크기와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합니다. 인큐베이터는 소형 벤치탑 모델부터 대형 바닥 모델까지 크기와 용량이 다양하다. 유닛은 공간과 기능을 수용하기 위해 스택 가능하고 모듈화될 수 있다. 검체의 크기와 적절한 장비를 보장하기 위한 스케일업의 필요성을 고려하십시오.
Temperature Range
온도 범위는 장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온도의 정확도는 예를 들어 +/- 0.1°C ~ +/- 0.5°C 이상일 수 있습니다. 장치가 온도 및 정확도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장치 전체의 온도 정밀도도 고려 사항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캐비닛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온도 매핑을 위한 다중 프로브의 가능성으로 워터 재킷 대 다이렉트 히팅 기술을 평가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도어 개방과 같은 사건 이후의 온도 설정 지점 복구 시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Humidity Control
습도는 세포와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거의 항상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일부 장치에는 내부 습도 조절 기능이 있습니다. 다른 것들은 외부 컨트롤러를 필요로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워터 재킷 장치는 다이렉트 히팅 장치와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습도 조절 요건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Gas Control
많은 인큐베이션 애플리케이션은 가스 레벨을 제어해야 합니다. 이들은 가장 일반적으로 CO2를 포함하지만 N2 및 O2 수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내장 가스 제어 기능과 여러 가스(필요한 경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탱크, 밸브 및 조절기 사양을 평가해야 합니다.
Shelving and Tray Options
인큐베이터에는 샘플의 크기와 크기에 따라 사용자 지정 구성을 허용하는 조정 가능한 선반 또는 트레이 옵션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큐베이션 용도 범위에 필요한 선반의 변동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Safety Features
인큐베이터는 열과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과열경보기, 가스누출감지기, 화재진압시스템 등 안전기능이 있는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검체와 검사실 공간이 보호됩니다.
Remote Operation and Data Logging
고급 인큐베이터 시스템에는 원격 작동 기능이 있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이벤트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리한 기능은 결과가 잘못되고 셀이 계획대로 전파되지 않을 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Decontamination
모든 장치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정상적인 세포 배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 제거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적절한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곰팡이와 마이코플라스마의 발생은 지속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건열 인큐베이터는 오염 제거를 위해 높은 열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워터잭킹 장치는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멸균 기능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하는지 확인하십시오.
Brand, Reputation, and Price
브랜드 성능, 고객 지원 및 가격에 대한 실적은 모두 시스템이 예산에 부합하고 최대 투자 수익을 창출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실험용 인큐베이터를 찾는다면, 열거된 조건에 맞는지 확인을 통해 당신의 어플리케이션과 모든 조건에 적합한 인큐베이터를 찾을 수 있을것입니다. 필수적인 기기인 인큐베이터를 현명하게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
|
|
- 전통적 백신 대안으로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 부상
- 제약업계, 마이크로니들 관심 급증 … 관련 연구 ‘가속’
- 앱클론 “기존 카티치료제 불응 환자 치료 임상결과 발표”
- 강스템바이오텍, 인공장기 개발 탄력 붙나?
- FDA, 희귀 신장 질환 치료제 ‘필스파리’ 승인 ... 면역억제제 부작용 탈출
- 파마리서치, 특허만 간신히 지켰다 … 法 “한국비엠아이 PDRN 특허침해 아냐”
- "검색 먼저 하지만, 종결자는 '의ㆍ약사의 인간다움' 아닐까"
- 공급가 높고, 생산성 낮은 '왕사탕 메트포르민 복합제'의 눈물
- 내 증상을 챗GPT에게 물었다... 오류 많지만 잠재력엔 '현기증'
- "이공계 인재 의대 러시...우려 아닌 발상의 전환 필요"
- "휴미라, 주요특허 끝난 이후 오히려 미국서 대박났다"
- "CJ·셀트리온,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본격화"
- 노연홍 신임 제약바이오협회장과 '대마독존(大馬獨存)' 시대
- ‘Disease X’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지원 시작…올해 37억원 투입
- ‘라게브리오’ 코로나 노출 후 예방효과 “未입증”
- 日디지털치료제 시장, 26년이후 출시 본격화"VR앱 등 형식 다양" 예측
- 제약업계 주름 잡은 '조선일보' 출신 임원들
- 'o-아미노페놀'등 염모제 성분 5종 화장품 사용금지 원료 지정
- 키트루다, 3년 연속 시장 평정...다국적사 신약 급부상
- 디지털치료제 1호 허가...IT·제약기업들, 2·3호 '스탠바이'
- "신약개발 쉽지않네"…후속연구로 돌파구 찾는 K-바이오
|
|
|
5호를 읽어주신 모든 분들에게 한 주간에 행운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 |
|
|
|